2030 영끌 수요 ‘고금리’에 시들 노후 아파트 ‘몸테크족’ 비명
- 부동산
- 2023. 2. 9. 13:03
반응형
반응형
지난해 계속된 금리 인상 여파로 인한 집값 하락 등의 영향으로 20·30세대의 전국 아파트 매입 비율이 평균 30%를 밑돈 것으로 집계됐다. 2021년과 비교하면 1년 사이 2.6%포인트 감소한 수치다.
최근 영끌 몸테크족(몸+재테크)들이 유독 어려운 시기를 보내고 있다. 이들은 향후 재건축·재개발, 인근 개발 호재 등을 통한 집값 상승을 바라보며 낡은 집 실거주를 감수했다.
부동산 불장에는 이런 열풍이 더해지며 노후 단지가 몰린 강북권 중저가 아파트값이 크게 올랐지만, 지난해부터 부동산 경기에 찬바람이 불며, 불편한 주거환경에 더해 시장 침체까지 겹쳐 이중고에 빠진 상황이다.
집값 하락세가 본격화된 작년 이전까지만 해도 몸테크 열풍 현상은 곳곳에서 감지됐다. 2021년 4월 말 주요 재건축 단지가 밀집한 압구정동·여의도동·성수동·목동 일대의 토지거래허가구역 발효 후에도, 해당 지역 중 상대적으로 시세가 낮은 목동 신시가지 단지에서는 바로 다음 달 실거래가 잇따라 규제에도 몸테크족이 몰리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그러나 노후화된 주거 환경에 시장 불확실성까지 겹치면서 ‘버티기’가 힘겨워지는 상황을 맞았다. 최근 무더기 재건축 판정에 더 이상 안전진단 통과가 집값 상승을 견인하지 못하는 데다 공사비와 금리 인상까지 겹쳤기 때문이다.
하기도 쉽지 않고, 전셋값도 빠르게 하락하고 있어서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울 20년 초과 아파트의 전세가격지수는 지난해 1월 기준 103.7에서 12월 기준 92.7로 10포인트 이상 급락했다.
시장에서는 한동안 몸테크족 유입은 줄어들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아파트 가격 상승 시기에는 몸테크에 뛰어드는 이들이 상당했지만, 시장 하락기에는 그런 현상이 줄어들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아파트를 사려고 할 때 고점은 피해야 할 것이다.
반응형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앞으로 지하주택 신축 금지된다 (10) | 2023.02.22 |
---|---|
세상이 급변하는데 10년간 임대로 변경 (2) | 2023.02.22 |
임대주택 하자 처리 부실 건설사 퇴출 (5) | 2023.02.22 |
집주인이 돈 준다는데 눌러 살까요? 역월세 난리 (12) | 2023.02.09 |
보일러를 35도로 틀어도 아침엔 14도.. 단열부실 낡은 건물 40% (4) | 2023.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