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마 보증금 1000만 원 떼이겠어? (비싸도 월세 찾는 세입자들)

반응형
반응형

 

사회초년생 A 씨(28)는 최근 보증금 1000만 원, 월세 65만 원에 자취방을 계약했다. 보증금이 적어 전세사기 위험이 비교적 낮다고 판단해 일종의 '안전비용'으로서 높은 월세 가격을 받아들이기로 했다. 전세 매물도 고려했지만 1억 원이 넘는 대출이 필요한데다 이자부담도 만만치 않고, 앞으로 빌라 전세가격이 더 떨어질 수 있다는 걱정에 당분간 월세 생활을 하기로 했다.

전세시장 불안으로 임차인들이 가급적 보증금을 줄이려는 모습이다. 월세가격 급등으로 부담이 크지만 보증금을 낮춰 전세사고 위험과 이자부담을 덜기 위해서다.

23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최근 월세 보증금은 떨어졌지만 다달이 내는 월세는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2021년 12월 2900만 원대를 돌파한 뒤 꾸준히 유지되던 전국 연립·다세대주택의 평균 월세계약 보증금은 지난달 2894만 원으로 떨어졌다. 약 13개월 만에 다시 2800만 원대로 내린 것이다.

서울 연립·다세대주택의 평균 월세 보증금도 5734만 원을 기록하며 전월(5749만 원) 대비 내렸다. 반면 같은 기간 평균 월세가격은 약 62만9000원으로 전월(62만6000원)보다 올랐다.

 

 

반응형



월세 가격이 오르는데도 수요가 이어지는 것은 보증금을 가급적 낮추려는 현상의 영향이다. A 씨는 "첫 부동산 임대차 계약인데다 최근 전세사기로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한 청년들이 많다는 소식에 불안해 보증금이 낮은 집을 선택했다"면서도 "월세가 월급의 4분의 1을 차지하지만 설마 1000만 원을 떼이겠나 싶어 안심이 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당장 출근을 위해 급하게 계약을 했지만 오랜 기간 이정도의 월세를 감당할 수는 없을 것 같다"고 토로했다.

 

전세 사기를 조심하고 되도록이면 남에게 목돈을 줘야하는 전세를 피하자.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