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화의 분류 (화제에 따른 분류)
- 미술 이론
- 2024. 4. 7. 15:11
화제에 따른 분류
1. 산수화
- 중국의 남북조 시대에 시작되어 당나라 때 독립적인 장르로 부상한 후 송나라 때 크게 발전함. 관념산수화(중국식의 상상적인 산수화)와 진경산수화(조선 후기에 실경을 바탕으로 사의성을 담아 표현한 산수화), 사경산수화(실제의 경치를 있는 그대로 표현한 산수화)로 구분됨.
2. 인물화
(1) 초상화 : 실존 인물을 그림. 인물의 정신까지 그림으로 드러나도록 하는 전신사조의 추구
(2) 고사인물화 : 옛 이야기 속의 인물을 주제로 하여 그린 그림
(3) 도석인물화 : 도교, 불교와 관계된 인물화로, 나한, 관음, 기타 성인들을 그림으로 나타냄. 주로 채색기법으로 그리나, 선종화에서는 수묵 기법으로 그림
(4) 풍속화 : 생활 풍속을 그림으로 나타낸 것으로 조선 후기 김홍도, 김득신, 신윤복에 의해 발전한 한국적 화풍
(5) 기록화 : 궁중이나 양반들의 행사, 모임 등을 기록으로 남기기 위해 그린 그림. 크게 궁중의 행사를 그린 의궤도 (반차도, 건축도, 제기도 등)와 양반들이 사모임을 그린 계회도(아회도)로 나뉨
3. 화조화 : 꽃과 새를 그림. 부부 화합과 가정의 부귀를 염원하는 장식용 민화의 소재로도 많이 그려짐. 산수, 인물과 함께 동양의 전통적 3대 화제.
4. 화훼화 : 꽃이나 풍만을 그린 그림으로 주로 연꽃과 모란이 많이 그려짐.
5. 초충도 : 풀과 벌레를 그리는 것으로 신사임당이 유명함. 채색을 주로 하나 수묵만으로도 그려짐.
6. 영모화 : 새나 네발짐승처럼 털이 있는 동물을 그린 것.
7. 어해화 : 물고기, 게 등을 그린 그림.
8. 기명절지화 : 각종 기물(화병, 화로 등)과 절지(꺾은 나뭇가지)를 그린 것. 대체로 문인들의 시의를 곁들여 그렸으며, 수묵 담채를 주로 사용함. 서양화의 정물화에 해당함.
9. 사군자
- 사대부들이 군자를 상징하는 소재인 매화, 난초, 국화, 대나무를 시, 서예와 곁들여 그린 그림.
- 운필 공부의 기초로서 필력, 먹의 농담, 짜임새 있는 화면 구성 등에 유의해서 표현.
주로 몰골법으로 그려지나 매화꽃, 국화꽃은 주로 구륵법으로 표현함.
- 매화는 봄, 고결과 지조/ 난초는 여름, 수려와 청절/ 국화는 가을, 높은 절개 / 대나무는 겨울, 곧음과 충절을 나타냄
- 중국 원대에 성행하였고,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때부터 시작하여 조선시대에 사대부들의 유교 교양의 일부로 널리 퍼짐.
<알고가기>
* 화제 : 이야기 할만한 재료나 소재
* 사의성 : 당시의 상황이나 사정과 딱 들어맞는 성질.
* 선종화 : 좌선과 내관을 통해 깨달음을 얻는 불교의 선종 교리과 관계된 그림. 채색 위주의 전통적 불화와는 달리 수묵 위주의 일품적인 내면 표출 기법이 특징 (감필법으로 간략하게 표현), 예 김명국<달마도>
* 군자 : 덕과 학식이 높은 사람, 또는 덕이 재주보다 나은 사람.
'미술 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화의 이해 (특성 재료 및 용구 분류) (2) | 2024.04.07 |
---|---|
전통회화의 분류 (북종화 남종화 문인화 민화) (0) | 2024.04.07 |
게르니카 피카소 그림 (상징 시대적배경 조형요소와원리 미술사적 의의 등) (13) | 2023.05.10 |
피카소 그림 조각 시대적 배경 (7) | 2023.05.10 |
[루브르와 오르세 외] 프랑스 파리 미술관 베스트 5 (김진주의 책 특별하게 파리) (19) | 2023.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