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회화의 분류 (북종화 남종화 문인화 민화)

반응형
반응형

 

1. 전통 회화의 분류

1) 화풍에 따른 분류

- 북종화 : 궁중의 직업화가가 많이 그림 화풍(원체화풍)으로, 객관적이고 사실적인 묘사 방식을 따랐으며, 구륵법이나 진채화 위주의 그림이 많음. 엄격한 법칙에 의거하여 화려하고 세밀하게 표현함. 당나라 이사훈이 시조

 

북종화-이사훈-강범누각도
북종화, 이사훈 <강범누각도>

 

 

- 남종화 : 문인 사대부들이 많이 그린 화풍(문인화풍)으로, 주관적이고 사의적인 묘사 방식을 따랐으며, 몰골법, 수묵화 위주의 그림. 자유로운 심상에 의한 간결하고 함축적인 표현을 추구함. 당나라 왕유가 시조.

 

남종화-왕유-장강적설도
남종화, 왕유 <장강적설도>

 

 

반응형

 

 

2) 화가에 따른 분류

- 문인화 : 문인 사대부들이 여기로 그리는 그림으로 남종화와 같은 의미로 쓰임. 시, 서, 화의 종합적 표현을 통해 기운과 운치를 드러내는 것을 목표로 함. 명의 동기창에 의해 '남종문인화'라는 용어가 사용됨.

 

문인화-강세황-벽오청서도
문인화, 강세황 <벽오청서도>

 

- 민화 : 조선 후기에 등장한 것으로, 주로 서민계층의 무명 화가들이 그린 실용적 그림을 뜻함. 특별한 양식에 구애되지 않고 소박하면서도 다양한 개성이 반영됨. 주로 민간신앙에 기반을 두고 벽사구복의 주제를 담은 그림이 많음. (동식물, 십장생, 문방구, 사신도, 무속화, 지도, 문자화 등)

 

민화-호작도
민화, <호작도>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